2019년 11월 4일~12일 네팔 카트만두, 포카라, 안나푸르나(푼힐 전망대)에 자유여행으로 다녀온 후기다.
시간이 풍족하지 않은 직장인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네팔여행 관련 포스팅 보기
네팔 도착비자/입국심사 준비물 주의사항 (황당한 일 일어남)
네팔 도착비자/입국심사 준비물 주의사항 (황당한 일 일어남)
네팔 입국 관문은 도착비자와 입국심사다. 결론부터 말해서 전혀 복잡하지 않으니 쫄 필요 없다. 다만 약간은 당황스러운 일이 일어날 수 있다(나처럼). 이 포스팅에선 네팔 공항 도착비자, 입국심사 과정에서 직..
triptech.tistory.com
네팔 여행 유심/유심칩/심카드 필수가 아닌 이유
네팔 여행 유심/유심칩/심카드 필수가 아닌 이유
2019년 11월 4일~12일 네팔 카트만두, 포카라, 안나푸르나(푼힐 전망대)에 자유여행으로 다녀온 후기다. 네팔 도착비자, 입국심사 유의사항은 네팔 도착비자/입국심사 준비물 주의사항 (황당한 일 일어남) 참조 네..
triptech.tistory.com
이번 포스팅에서는 네팔 포카라에서 여행사, 대행사를 끼지 않고 직접 팀스, 퍼밋을 발급받았던 후기를 풀어보겠다.
우선 팀스, 퍼밋이 무엇인지 간단히 짚고 넘어가자.
1. 퍼밋은 PERMIT. 입산허가증이다. 나 이 산 들어갈테니 허락해줘!!
2. 팀스는 트레커스 인포메이션 매니지먼즈 시스템(Trekker's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의 약자. 트레커(등산객) 정보 관리 시스템. 트레커가 어떤 루트로 이동하는지 파악하기 위함이다.
하여튼 안나푸르나 베이스캠프(ABC)가 아닌 푼힐전망대를 가려고 해도 퍼밋, 팀스가 필요하다.
참고로 오스트레일리안캠프는 퍼밋, 팀스 필요 없다. 나보다 더 시간이 없는 직장인들은 당일치기나 1박 2일로 다녀오면 좋을 듯 하다. 오스트레일리안캠프에서도 마차푸차레 등 만년설을 꽤나 가까이서 볼 수 있다. 나는 푼힐과 오스트레일리아캠프 중에서 엄청 고민했는데, 힘들게 히말라야까지 갔는데 한 번 고생좀 해보자(과거의 내가 개탄스럽다)라는 마음으로 결국 푼힐을 택했다.
그렇게 나는 짐을 들어주는 포터도, 안내자인 가이드도 없이(일명 노포터, 노가이드) 남동생과 둘이서 2박 3일로 푼힐 전망대에 다녀오기로 했다.
(무거운 짐은 동생에게 넘기기^^.............. 그래도 내 배낭도 진짜 무거워서 내팽개쳐버리고 싶을 때가 한 두번이 아니었음)
포카라 팀스, 퍼밋 발급 사무소는 구글지도에서 ACAP office, Pokhara라는 곳이다. 그냥 구글맵에 pokhara tims치면 나오기도 한다. 포카라 공항, 댐 사이드(DAMSIDE) 쪽에 위치해있는데, 호텔, 식당이 밀집한 포카라 다운타운인 레이크 사이드와는 다소 거리가 있다.
구글 정보 보면 영업시간은 오전 10시~오후 5시. (점심시간 1시간 쉼; 그래도 팀스, 퍼밋 발급소 동시에 쉬진 않아서 이중 하나 먼저 발급 받으면 된다)
레이크사이드에서 걸어가면 30~40분은 걸린다. 나는 날씨가 좋고 동네 구경도 할겸 걸어감(곧 후회했지만). 레이크사이드에서 택시 타고 가면 대략 150-200루피(2,000원 정도?) 정도 부를 듯. (포카라 공항에서 레이크사이드까지 300루피 불렀음)
팀스, 퍼밋 준비물과 발급비용
(2019년 11월 6일 기준)
준비물
1. 사진 4장 (여권사진, 증명사진 상관 없음)
2. 펜 (현장에 비치돼 있지만 내거 가져가면 편하다)
3. 5,000루피 (달러 받는지 여부는 모르겠다. 어디서 언뜻 보기로 이제 달러 안받는다는거 같기도. 확실치 않음)
팀스가 2,000루피. 퍼밋이 3,000루피다.
팀스 발급 과정과 유의사항!!
오피스에 들어가면 팀스 발급소(라기에는 그냥 로비 한켠에 카운터와 직원 2명 있음...)가 보인다.
가까이 가면 직원이 "가이드 있냐, 아님 혼자 가냐"고 물어보는데, "노 가이드"라고 하면 노가이드용 팀스 신청서를 준다.
팀스를 발급받을 때 주의사항이 한 가지 있다. 사전 정보를 서치했을 때 그 어떤 사람도 알려주지 않았던 중요한 사항이다. 바로 가입한 보험 정보를 기입해야 한다는 것!
팀스 신청서 마지막에 보면 insurance policy인가? 기입란이 있는데 여기에 가입 보험사 이름, 증권번호(보험도 증권의 일종이므로 고유 번호가 있다), 보험 종류(여행자보험 등)를 쓰면 된다.
이 사실을 몰라서 메리츠 여행자보험을 들고 갔음에도 보험증권 번호를 알 수 없어 잠깐 당황했다. 다른 포스팅에서 밝혔듯 나는 유심을 끼지 않아 내 이메일함으로 전달된 증권번호를 알 수 없었다(누가 보험가입 PDF 파일을 미리 다운받아 가겠는가..).
내 당황함을 눈치챈 직원은 슬쩍 와이파이 비밀번호가 적힌 쪽지를 건네줬지만 아무리 입력해도 맞지않는 비밀번호라고 떠서 그냥 보험 안 가입했다고(...) 빈칸으로 남겼다. 그랬더니 직원은 고개를 절레절레 흔들며 "그럴리 없다" 꼭 기입하라고 리젝트했다.
낙담한 나는 결국 데이터로밍을 켰다. 지메일에 들어가 메리츠보험에서 발송한 여행자보험 가입확인서 PDF 파일을 열어 증권번호를 입력했다. (데이터로밍비 622원 나옴) 그제서야 직원은 고개를 끄덕거리며 만족한 미소를 지었다....
팀스에 비해 퍼밋 발급 과정은 훨씬 순조로운 편이다. 팀스 카운터 바로 오른쪽이 퍼밋 발급소인데, 그냥 간단한 개인정보와 3,000루피를 내면 퍼밋을 준다.
다음 포스팅에서도 유용한 네팔여행 팁을 가져오겠다. 아마도.
'네팔, 히말라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팔 안나푸르나 100% 필수 준비물 (11월 기준) (1) | 2019.11.25 |
---|---|
안나푸르나 푼힐 롯지 예약 해야될까 말아야될까? (0) | 2019.11.24 |
이런 사람들은 네팔 여행 가야됨 vs 가지 말아야됨 (1) | 2019.11.22 |
네팔 유심/유심칩/포켓와이파이 필수가 아닌 이유 (0) | 2019.11.18 |
네팔 도착비자/입국심사 준비물 주의사항 (황당한 일 일어남) (1) | 2019.11.18 |